본문 바로가기
꿀정보🐝

단점이 사라진 2024년 ISA - 비과세 만능통장 만들기, 간략 정리와 한도

by 우유1L 2024. 1. 30.
728x90

ISA는 처음 등장한 2016년에는 인기가 별로 없었는데요.

21년에 개정되고,

올해 한번 더 개정되면서 단점은 줄어들고 누구나 꼭 가져야 할 통장으로 탈바꿈했습니다.

 

 

ISA가 무슨 뜻?

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, 개인종합 자산관리 계좌입니다.

 

 

어떻게 투자하면 되는가

1. 일단 증권사에서 중개형 ISA를 만들고,

2. 원하는 주식에 투자한 뒤

3. 3년 후에 매도하고 해지한 다음

4. 연금계좌에 일정 부분 넣고

5. 다시 ISA를 만들어서 반복하면 됩니다

 

-> 이렇게 하면 비과세와 분리과세 혜택을 보면서 목돈도 마련할 수 있답니다.

*잠깐, 왜 중개형으로 만들까?

신탁형, 일임형, 국내형 등도 있지만, 중개형 ISA는 국내주식에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. 내가 은행이나 증권사에 투자를 맡기지 않고 직접 원하는 종목에 투자하고 싶다면 이걸 선택해야 함

 

 

무슨 혜택을 주는가?

의무 보유 기간인 3년만 유지하면 순소득(수익과 손실을 합한 금액)에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.

세금을 안 떼가는 거죠!

일반형은 500만 원까지 해주고요, 서민형은 1천만 원까지 비과세입니다.

심지어 이 금액을 초과한 부분도 9.9%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도 해준답니다

 

 

만들 수 있는 자격과 조건

  •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
  • 혹은 소득이 '있는' 15~19세도 가능
  • 금융기관 한 곳에서만 개설 가능 (갈아타기 가능. 그냥 증권사에서 중개형으로 들면 됨)
  • 일반형과 서민형으로 나뉘는데,
    연봉 5천만원 넘는 직장인이거나 종합소득이 3800만 원 넘는다면 일반형이고
    그것보다 낮으면 서민형입니다

 

얼마까지 넣을 수 있나? (한도)

최대 연 4천만원까지 가능 (해마다 남은 한도를 이월도 해줌)

최대! 이므로 만 원만 넣어도 가능함

 

3년에 1억 2천만 원,

5년 동안 최대 3억까지 가능!

 

 

최소 유지 기간

ISA는 비과세 세금 혜택이 있기 때문에, 이 혜택을 받으려면 최소 계좌를 3년 유지해야 합니다 (의무 보유 기간)

중간에 해지하면 그동안 받았던 세금만 토해내면 되고

다른 페널티는 없습니다.

 

혹시 개설하실 때 '만기'를 물어보면 최대한 길~게 (ex.9999년) 잡으면 됩니다.

만기는 최소 유지기간과 달리 내가 정하는 거고,

나중에 변경도 가능해서 일단 길게 잡는 게 좋답니다.

 

 

혹시 중간에 돈이 필요하다면?

내가 넣은 원금만큼은 중간에 출금해서 쓸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출금한 만큼 다시 한도가 채워지지 않아요.

1천만 원 출금했으면 1년에 넣을 수 있는 저축 한도(4천만 원)가 다시 생기지는 않는다는 뜻!

(예를 들어, 4천만원 넣었다가 1천만원 중도인출을 하면, 1천만원을 다시 넣지 못함. 이미 4천만원 한도 다 썼으므로)

 

그러니 급할 때만 써야겠죠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