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SA는 처음 등장한 2016년에는 인기가 별로 없었는데요.
21년에 개정되고,
올해 한번 더 개정되면서 단점은 줄어들고 누구나 꼭 가져야 할 통장으로 탈바꿈했습니다.
ISA가 무슨 뜻?
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, 개인종합 자산관리 계좌입니다.
어떻게 투자하면 되는가
1. 일단 증권사에서 중개형 ISA를 만들고,
2. 원하는 주식에 투자한 뒤
3. 3년 후에 매도하고 해지한 다음
4. 연금계좌에 일정 부분 넣고
5. 다시 ISA를 만들어서 반복하면 됩니다
-> 이렇게 하면 비과세와 분리과세 혜택을 보면서 목돈도 마련할 수 있답니다.
*잠깐, 왜 중개형으로 만들까?
신탁형, 일임형, 국내형 등도 있지만, 중개형 ISA는 국내주식에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. 내가 은행이나 증권사에 투자를 맡기지 않고 직접 원하는 종목에 투자하고 싶다면 이걸 선택해야 함
무슨 혜택을 주는가?
의무 보유 기간인 3년만 유지하면 순소득(수익과 손실을 합한 금액)에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.
세금을 안 떼가는 거죠!
일반형은 500만 원까지 해주고요, 서민형은 1천만 원까지 비과세입니다.
심지어 이 금액을 초과한 부분도 9.9%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세율로 분리과세도 해준답니다
만들 수 있는 자격과 조건
-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
- 혹은 소득이 '있는' 15~19세도 가능
- 금융기관 한 곳에서만 개설 가능 (갈아타기 가능. 그냥 증권사에서 중개형으로 들면 됨)
- 일반형과 서민형으로 나뉘는데,
연봉 5천만원 넘는 직장인이거나 종합소득이 3800만 원 넘는다면 일반형이고
그것보다 낮으면 서민형입니다
얼마까지 넣을 수 있나? (한도)
최대 연 4천만원까지 가능 (해마다 남은 한도를 이월도 해줌)
최대! 이므로 만 원만 넣어도 가능함
3년에 1억 2천만 원,
5년 동안 최대 3억까지 가능!
최소 유지 기간
ISA는 비과세 세금 혜택이 있기 때문에, 이 혜택을 받으려면 최소 계좌를 3년 유지해야 합니다 (의무 보유 기간)
중간에 해지하면 그동안 받았던 세금만 토해내면 되고
다른 페널티는 없습니다.
혹시 개설하실 때 '만기'를 물어보면 최대한 길~게 (ex.9999년) 잡으면 됩니다.
만기는 최소 유지기간과 달리 내가 정하는 거고,
나중에 변경도 가능해서 일단 길게 잡는 게 좋답니다.
혹시 중간에 돈이 필요하다면?
내가 넣은 원금만큼은 중간에 출금해서 쓸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출금한 만큼 다시 한도가 채워지지 않아요.
1천만 원 출금했으면 1년에 넣을 수 있는 저축 한도(4천만 원)가 다시 생기지는 않는다는 뜻!
(예를 들어, 4천만원 넣었다가 1천만원 중도인출을 하면, 1천만원을 다시 넣지 못함. 이미 4천만원 한도 다 썼으므로)
그러니 급할 때만 써야겠죠?
'꿀정보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우대형 청약통장 ->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전환하기! (출시일, 가입 조건) (0) | 2024.02.09 |
---|---|
따따블 성공할까? 에이피알 공모주 청약일정, 필요 금액 (0) | 2024.02.04 |
연 4.5%!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으로 레벨업하기 - 가입 조건 (0) | 2024.01.28 |
2024 K패스, 기후카드, 경기패스 뭐 쓸지 정리해드림 - 대중교통 할인받기 (0) | 2024.01.28 |
청년희망적금+청년도약계좌 연계, 은행 달라도 가능? - 좋은 점, 가입 방법 (0) | 2024.01.24 |